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6일차
    챌린지 2021. 11. 6. 22:34

    행렬!

    패스트 캠퍼스 6일차 강의 후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아직 게임수학 파트가 많이 남아있는데요. 다음 시간부터는 진도를 좀 더 많이 나가볼까 생각이 듭니다. 아직 준비된 강의가 많은데 저는 하루 1파트만 나가다보니 게임 개발보다 게임수학 배우고 챌린지가 끝날거 같은 생각이 들더라구요....그래서! 내일부터는 최대한 빨리 빨리 진도를 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오늘 강의 시간에는 무엇을 배웠는지 여러분들께 공유하고 싶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드디어 벡터를 벗어나 행렬 파트로 넘어가게 되었는데요. 학교다닐 때에는 벡터보다 행렬을 먼저 배웠었는데 여기서는 행렬보다 벡터를 먼저 배우는게 처음엔 의아했지만 강의 내용을 듣다보니 아! 벡터보다 행렬을 늦게 알려주신 이유를 조금은 알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저 행렬의 사칙연산만 배웠다면 이 강의가 큰 의미는 없었겠지만 여기서 배운 행렬은 다름이 아닌! 바로! x,y,z좌표만 이용하는게 아닌 동차좌표계를 사용한 변환 행렬과 회전행렬을 배우기 때문에 벡터보다 늦게 배운 것이구나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럼 오늘도 여러분은 배우고 저는 복습해보는 시간을 한 번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변환행렬은 크게 3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항등행렬, 크기변환행렬, 이동행렬로써

    항등행렬은 항등행렬에 다른 좌표를 곱하더라도 항상 같은 좌표를 알려주는게 항등행렬이고 크기 변환 행렬은 우리가 좌표의 값을 키울 때 쓰는 행렬입니다. 그리고 이동행렬은 좌표가 어느 방향으로 얼만큼 이동했냐에 따라 좌표값이 달라지게 만드는 행렬입니다.

    이와 같이 변환행렬은 좌표의 값에 변화를 주는 행렬들을 의미하는데! 왜? 게임수학에 이와 같은 행렬들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이 나올 수 밖에 없겠죠? 그 이유는 바로! 각 축에 대한 이동과 회전을 행렬만큼 편하게 해주는 것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더욱 자세한 이유를 듣고 싶다면 이 강의를 꼭 들어보시길 추천할께요!

    스크립트에 주석달기

    오늘도 어김없는 실습타임인데요. 유니티 패키지를 활용하였지만 오늘은 유니티보다 스크립트 주석(//)다는 시간이 더 길었던 관계로 주석(//)다는 사진만 가져오게 되었습니다. 주석(//)을 하나씩 달고 있다보면 꼭 나중에 한 번 다시 봐야겠다는 생각으로 적는 것 같습니다.

    내일도 찾아오겠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평안한 주말되시길 바랄께요

     

     

     

    #패스트캠퍼스 #패캠챌린지 #직장인인강 #직장인자기계발 #패스트캠퍼스후기 #게임 개발자 취업의 모든 것 초격차 패키지 Online

    https://bit.ly/3FVdhDa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8일차  (0) 2021.11.08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7일차  (0) 2021.11.07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5일차  (0) 2021.11.05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일차  (0) 2021.11.04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일차  (0) 2021.11.03
Designed by Tistory.